반응형

람보르기니(Automobili Lamborghini)가 트랙뿐만 아니라 일반도로에서도 짜릿한 주행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차세대 V10 후륜구동 모델, 우라칸 테크니카(Huracán Tecnica)를 공개했다.

 

“테크니카(Tecnica)”라는 명칭은 우라칸의 진화한 기술력을 의미한다. 이름에서도 증명하듯 우라칸 테크니카는 향상된 공기역학과 엔진 성능으로 서킷에서도 부족하지 않은 강력한 성능뿐만 아니라 안정성과 편의성까지 자랑한다.

 

우라칸 테크니카는 우라칸 STO(Huracán STO)와 동일한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자연흡기 V10 엔진은 우라칸 에보 RWD(Huracán EVO RWD)보다 30마력 높은 최고 출력 640마력(@8,000 rpm)을 발휘하고, 최대 토크 57.6kg∙m(@6,500rpm)을 전달하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3.2초만에 주파한다.

 

또한 우라칸 테크니카는 더욱 강력해진 성능으로 공도와 트랙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다재다능한 매력을 지녔다. 우라칸 테크니카는 향상된 동력제어 시스템 (Lamborghini Dinamica Veicolo Integrata, LDVI), 테크니카 전용 서스펜션 설정을 포함한 드라이빙 모드, 더욱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후륜 조향 시스템, 혁신적인 브레이크 냉각 시스템을 탑재해 운전자가 매 순간 완벽한 우라칸을 경험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강력한 퍼포먼스와 차체 제어 시스템으로 무장

 

우라칸 테크니카는 최고 출력 640마력(@8,000 rpm)를 발휘하는 우라칸 STO와 동일한 5.2l 엔진을 탑재해 운전자가 필요할 때 매우 뛰어난 반응성과 편안한 일상 주행 성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최대 토크는 57.6kg∙m(@6,500rpm)에 달하며, 경량화에 힘입어 1,379 kg에 불과한 공차중량 덕분에 출력 대 중량비(weight-to-power ratio)는 2.15kg/hp에 이른다. 향상된 출력은 높은 엔진 회전 속도에서 더 강력한 엔진 사운드를 발생시키며 운전석 내부에서는 우라칸 테크니카만의 향상된 음향적 편안함을 제공한다.

 

완벽한 드라이빙 다이내믹스를 위해 우라칸 테크니카의 후륜 조향 시스템과 토크 벡터링 시스템은 LDVI(Lamborghini Dinamica Veicolo Integrata)라는 핵심 기술을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된다. LDVI는 차량 운전모드에 따라 섀시를 알맞게 조정해주며, '피드 포워드 로직(feed forward logic)'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반영한다.

 

후륜 구동인 우라칸 테크니카는 후륜 조향과 개선된 트랙션 제어 시스템인 P-TCS(Performance Traction Control System) 시스템 및 테크니카 전용 서스펜션 설정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후륜 조향 시스템은 토크 벡터링 기능을 포함하고 스티어링 조향 비율과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운전자가 선택하는 드라이빙 모드(STRADA, SPORT or CORSA) 에 따라 모든 다이내믹 시스템이 우라칸 테크니카에서 보정되어 각 환경에 대해 매우 다르게 반응한다.

스트라다(STRADA) 모드에서는 P-TCS가 뒷바퀴가 헛도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모든 조건에서 안정성을 보장한다. 엔진과 기어박스는 모든 설정에서 편안한 일상 주행을 위해 조정된다.

 

스포츠(SPORT) 모드에서는 후륜 조향의 강화된 오버스티어 특성 및 P-TCS의 향상된 슬립 임계값을 통해 운전의 즐거움을 극대화한다. 가속 페달을 밟으면 반응성이 높은 파워트레인이 불꽃을 일으키고 7단 변속기는 감성적인 변속을 제공한다.

 

코르사(CORSA) 모드에서는 차와 운전자의 레이스 정신이 깨어난다.  우라칸 테크니카는 자연흡기 람보르기니 엔진의 포효와 함께 운전자의 모든 인풋에 매우 정밀하게 반응하여 차의 트랙 능력을 끊임없이 상기시킨다.

 

우라칸 테크니카의 파워트레인은 최적화된 트랙 지향 스로틀 반응성과 빠른 기어 변속을 제공하도록 조정됐다. 또한 우라칸 테크니카는 토크 벡터링과 P-TCS 의 최대 횡방향 및 종방향 그립을 포함해 LDVI를 통해 모든 시스템에서 최대 정밀도와 민첩성을 발휘한다.

 

탁월한 성능은 트랙을 기반으로 한 람보르기니의 경험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브레이크 냉각 기능과 공도와 트랙 모두에서 일관되게 향상된 제동 성능에서 나온다. 우라칸 테크니카의 카본 세라믹 브레이크는 특별히 설계된 냉각 디플렉터와 캘리퍼 덕트를 채택해 열 방산을 극대화하고 브레이크 오일 온도 및 브레이크 페달 연장을 감소시킨다. 또한 디스크 온도 감소는 브레이크 패드 소모도 지원한다.

 

탁월한 공기역학 특성

 

디자인은 상징적인 슈퍼 스포츠 라이프스타일과 트랙 지향 자동차의 이중적인 개성이 모두 돋보이도록 정교하게 수정됐다. 우라칸 테크니카는 공기역학적 효율과 경량화 기술을 통해 강력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독특한 우아함을 지녔으며, 우라칸 라인업의 다른 모델과도 명확하게 구분되는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새로운 디자인은 우라칸 테크니카에 더욱 강력하고 야성적인 매력을 선사한다. 강력하고 안쪽으로 향하는 근육질의 외관은 완전히 탄소섬유로 이루어져 가벼운 후드와 연결된다. 우라칸 모델 최초로 에어 커튼을 적용한 우라칸 테크니카의 전면은 테르조 밀레니오(Terzo Millennio)와 같은 Y모양으로 디자인됐다. 휠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는, 더 낮아진 오픈 슬래트를 가진 앞 범퍼의 새 스플리터는 향상된 다운포스와 쿨링을 가능케 한다. 앞유리 아래의 검정 디자인은 차가 더욱 가벼워보이는 인상을 준다.

 

우라칸 테크니카는 우라칸 에보 대비 동일한 전고와 전폭을 갖고 있으나, 전장은 6.1cm 더 길며, 에센자 SCV12(Essenza SCV12)에서 영감을 받은 실루엣 덕에 차체가 더 낮고 넓어 보인다. 또한 Y모양 전면 범퍼의 검정 도색은 차량 측면을 따라 측면 공기 흡입구까지 이어져 차량의 역동적인 생명력을 강조했다.

 

람보르기니를 정의하는 선명하고 각진 디자인은 후면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새로운 수직의 후면 유리창을 포함하여 후면의 모양이 기존 우라칸과 달라졌으며 가시성이 향상됐다. 또한 경량 탄소 섬유로 제작된 엔진 후드는 우라칸 테크니카의 V10 심장을 기념한다.

 

강렬한 후면은 최적화된 공기 흡입구와 차체 색상과 동일한 색으로 도색된 리어 디퓨저가 포함된 새로운 리어 범퍼와 우라칸 테크니카의 향상된 엔진 소리를 전달하는 새로운 육각형 배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라칸 테크니카는 공기역학적 디자인 덕에 우라칸 에보 RWD대비 35% 향상된 리어 다운포스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 저항력은 20% 감소하며 제동 및 회전 속도 동안 에어로 밸런스를 개선하고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우라칸 테크니카의 차체 하부는 공기역학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에어로 디플렉터로 최적화되었다.

 

우라칸 테크니카에는 람보르기니 비전 GT(Lamborghini Vision GT)에서 영감을 얻은 육각형 디자인의 새로운 다미소 20인치 다이아몬드 컷팅 휠과 브리지스톤 포텐자 스포츠 타이어가 장착된다.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실내

 

우라칸 테크니카의 다재다능한 매력은 실내에서도 이어진다. 광범위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포함한 실내 디자인, 다이내믹 설정, 운전 피드백 등 공도와 트랙 주행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모든 것을 제공한다.

 

우라칸 테크니카의 실내는 애플 카플레이(Apple CarPlay)와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를 포함해 차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HMI 인터페이스가 센터 콘솔에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람보르기니는 운전석 계기판의 색상을 줄여 운전자의 가독성을 향상시켰다.

 

내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츠 시트가 자리잡고 있다. 추가적인 옵션으로는 경량 도어 디자인, 경량 티타늄 리어 아치 및 휠 볼트, 정기적으로 서킷을 이용하는 운전자 전용 안전 벨트 등이 있다.

 

8가지 표준 외부 색상 외에도 애드 퍼스넘(Ad Personam) 프로그램을 통해 200가지 이상의 추가 페인트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우라칸 테크니카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알칸타라의 새로운 인테리어 트림, 스티칭 디자인 및 색상, ‘테크니카’ 무늬로 수놓은 헤드 시트 등의 옵션도 선택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 특별 제작된 20개를 포함해 154개 유형, 총 40만 개 블록을 이용해 실물 크기로 제작한 시안이라고 합니다
- 15명으로 이뤄진 팀이 8,660시간 동안 공들여 완성했답니다
- 전장 4980mm, 전폭 2101mm, 전고 1133mm로 실제 모델과 mm단위까지 완벽하게 재현했답니다 

 

레고그룹(LEGO Group)이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Automobili Lamborghini)와의 합작을 통해 40만개 이상의 브릭으로 재탄생한 실물 크기 ‘레고 테크닉 람보르기니 시안 FKP 37(LEGO Technic Lamborghini Sián FKP 37)’을 공개했다.

레고그룹은 지난해 해당 모델을 1:8 비율의 레고 테크닉 세트로 출시한데 이어 이탈리아 슈퍼 스포츠카의 환상적인 디자인과 기술력을 더욱 정교하게 재현하고자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엔지니어링, 건축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된 특별 팀이 구성됐으며 8,660 시간 이상의 작업 시간과 40만개가 넘는 레고 테크닉 브릭이 투입됐다. 사용된 브릭의 종류도 특별 제작된 부품 20개를 포함해 총 154개에 달하며 차체 무게도 약 2.2 톤에 이른다.

이번 프로젝트는 설계 단계부터 람보르기니 디자인의 정수를 담기 위한 특수 작업이 다채롭게 이뤄졌다. 무엇보다 공기역학적인 차체를 오차 없이 재현하기 위해 람보르기니 디자인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육각형 패턴으로 레고 브릭이 촘촘하게 짜여진 구조의 레고 섬유를 개발했다. 역동적인 모습을 한 층 더 돋보이게 하는 육각 후미등과 배기구도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번개’를 의미하는 이름에 걸맞은 람보르기니 특유의 강렬한 헤드라이트와 후미등에 불이 들어오는 모습도 레고그룹 전기 엔지니어들에 의해 실감나게 구현됐다. 외관 마감에는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레고 실물 크기 모델 최초로 UV 도료 코팅 공법이 사용됐으며 실제 스포츠카와 동일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람보르기니 공식 도장공이 수작업으로 도색을 진행했다. 차량 내부도 람보르기니 엠블럼과 이탈리아 국기가 새겨진 스티어링 휠, 대시보드 및 시트 등의 디테일로 가득하다.

레고그룹은 이번 역대급 모델을 레고 및 람보르기니 팬들이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즐기는 동시에 더욱 실감나게 경험할 수 있도록 레고 최초의 온라인 가상 체험관을 운영한다. 전세계 팬들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실물 크기 레고 테크닉 람보르기니 시안 FKP 37의 탄생 과정과 디자이너들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레나 딕슨(Lena Dixen) 레고그룹 제품 및 마케팅 수석 부사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양사 디자이너들의 도전 정신과 창의력의 결실”이라며 “람보르기니의 혁신적인 디자인을 레고로 재탄생시키는 과정을 통해 한계를 뛰어 넘는 레고 테크닉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람보르기니가 세상에서 단 한대뿐인 원-오프 모델을 공개했다. 람보르기니 센트로 스틸레(Lamborghini Centro Stile)에서 디자인하고 모터스포츠 전담 부서 스콰드라 코르세(Squadra Corse)가 SC18에 이어 2번째로 완성한 하이퍼카다. 

이름은 SC20이고 바탕이 된 모델은 아벤타도르 SVJ. 하지만 베이스 모델의 흔적을 살피긴 쉽지 않다. 보디 전체에 많은 변화를 주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아벤타도르 J 와 베네노 로드스터에 가깝다. 윈드 스크린과 루프를 날려 클래식한 분위기도 풍긴다. 

여기에 모터스포츠를 참가하며 쌓은 노하우를 심었다. 영감의 원천은 전설적인 디아블로 VT 로드스터에서 출발했다. 프런트 스플리터와 범퍼의 형태는 우라칸 GT3 에보 레이서에서 영감을 얻었고 엔진의 흡입구는 에센자 SCV12의 영향을 받았다. 카본 파이버로 만든 커다란 리어 윙은 3단계로 높이를 조절하며 최적의 다운 포스를 만들 수 있다. 

 

보디 대부분은 가볍고 강한 카본 파이버로 만들었고 실내에도 이런 흐름을 이었다. 대시보드, 도어 카드, 센터 콘솔 및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까지 카본 파이버를 사용했다. 이외의 것들엔 알칸타라와 가죽을 덮어 모양을 냈다. 

엔진은 자연흡기 V12 6.5리터로 최고출력 770마력(CV), 최대토크 73.4kgm를 발휘한다. 강력한 토크는 7단 자동변속기와 AWD 구동계를 거쳐 네바퀴(앞 20인치, 뒤 21인치)에 전달된다.

SC20의 가격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이차의 가치를 짐작하는 건 어렵지 않다.  람보르기니의 정교한 엔지니어링과 이탈리아의 장인 정신을 융합한 가장 급진적인 오픈탑 모델이니까. 동시에 세계에서 유일한 존재다. 그렇기에 시간이 지날수록 값어치가 치솟을 건 분명하다.  

반응형
반응형



이태리 슈퍼카 메이커 람보르기니가 선보인 우라칸 에보 후륜구동 스파이더입니다

AWD 모델과 비교해 더 가볍고 저렴한 것이 특징이죠

과거 람보르기니 모델 중 FR의 다루기 어려웠으나 최근에 나온 모델은 아우디의 똑똑한 전자장비 때문인지 무척이나 안정적이더군요


610마력의 출력과 560Nm의 토크를 바탕으로 제로백 3.5초, 최고속도 324km/h의 성능을 냅니다. 톱은 50km 이하로 주행할 때도 작동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람보르기니가 2019 프랑쿠프르트 모터쇼에 출품한 하이브리드 하이퍼카입니다. 그동안 투우소의 이름에서 차명을 가져왔던 관례를 벗어나 이탈리아 볼로냐 지방의 방언으로 차명을 지었습니다. 이는 과거와 다른 미래의 파워트레인을 예고한 것인데 시안은 번개, 섬광을 뜻합니다.


파워트레인은 아벤타도르 SVJ의 V12 6.5리터 자연흡기 엔진이 베이스입니다. 티타늄 흡기 밸브를 채용하는 등의 튜닝을 거쳐 785마력(8,500rpm)의 최고출력을 발휘하죠. 여기에 48V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더해 추가로 34마력의 출력을 더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출력의 합은 819마력으로 람보르기니 역사상 가장 강력합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 슈퍼 커패시터의 몫입니다. 보통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쓰지만 무게 부담을 덜기 위해서 커패시터를 사용했어요. 무게가 34kg에 불과한 커패시터는 같은 전력을 생산하는 배터리보다 3배나 가볍고 아벤타도르에 사용했던 것보다 10배나 많은 축전량을 자랑합니다. 


강력한 파워를 바탕으로 2.8초면 100km/h 주행이 가능하고 최고속도는 350km/h까지 냅니다. 단순히 수치적인 부분보다 눈에 띄는 건 부스트 기능이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부스트 기능은 130km/h 이하 중속에서의 가속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네요. 예컨대, 30 ~ 60km/h의 가속은 아벤타도르 SVJ보다 0.2초 빠르고, 70 ~ 120km/h 가속은 1.2초나 빠르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2019 람보르기니 우라칸 EVO(Huracan EVO) 아주 큰 사진들입니다. 

우라칸 페이스리프트 성격의 슈퍼카죠. V10 5.2리터 자연흡기 엔진의 출력이 이전 퍼포만테과 같은 640마력까지 올랐습니다. 기본형이 하드코어와 어깨를 나란히 했네요.

2.9초 만에 100km/h까지 가속하고 200km/h는 9초 면 충분하네요. 최고속도는 325km/h까지 냅니다. 

디자인도 살짝 바뀌었는데 범퍼의 스플리터 윙을 통합했고 에어 인테이크는 키웠습니다. 리어 윙과 배기 시스템의 배치도 전과 조금 다르네요.



반응형
반응형



람보르기니의 모터스포츠 부문을 담당하는 스쿼드라 코르세(Squadra Corse)가 우르스의 레이싱 버전을 지향한 우루스 ST-X 컨셉트(Urus ST-X Concept)를 공개했습니다.

람보르기 역사상 첫 SUV 레이싱카라고 하네요. 람보르기니는 향후 이와 비슷한 성격의 레이스카를 만들어 새로운 원-메이크 레이스를 펼칠 계획이랍니다. 오프로드와 온로드를 결합한 트랙에서 말이죠. 

이를 위해 이번 컨셉은 철저하게 FIA 규정에 맞춰 개발되었습니다. 스틸 롤케이지를 비롯해 소화기, FT3 연료탱크 등이 대표적입니다.

에어 인테이크 사이즈를 키워 650마력짜리 V8 트윈 터보 엔진이 쉼 없이 달릴 수 있도록 했고 21인치 싱글 너트 알로이 휠과 피렐리 타이어를 선택했습니다.  

다이어트에도 힘을 써 기본형보다 무게가 25% 정도 가볍습니다. 비틀림 강성을 높이면서도 말이죠.  


반응형
반응형



세계에서 단 한 대만 존재하는 2018 람보르기니 SC18(LAMBORGHINI SC18)입니다.  

스쿼드라 코르세가 만든 원-오프 모델입니다. 아벤타도르 SVJ의 파워트레인을 사용하고 디자인을 변경해 공력성능을 레이싱카 수준으로 높였다는 주장입니다. 

V12 6.5리터 자연흡기로 최고출력 770마력을 발휘하며 최대토크는 720Nm를 뿜습니다. 변속기는 7단 ISR이네요. 

서킷용으로 만든 것이지만 일반도로 주행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고객이 누구인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