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지난 9월 9일 GM이 쉐보레의 풀 사이즈 픽업트럭, 실버라도(Chevrolet Silverado)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2022년형으로 등장한 신형 실버라도는 새로운 형태의 듀얼 포트 그릴과 날렵한 헤드램프가 눈에 들어옵니다. 상위 트림의 경우엔 드라이버가 차량에 접근하거나 멀어질 때 주간 주행등이 화려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시퀀스 기능까지 제공합니다. 

 

실내는 새로운 컬러를 적용하면서 소재의 고급감도 높였네요. 12.3인치 풀 디지털 클러스터와 13.4인치 터치 스크린를 적용했고 전체적으로 전보다 고급스럽습니다. 그동안 불만이었던 부분을 발 빠르게 개선했네요. 세미 버킷 형태의 시트도 선택할 수 있으며 센터 콘솔에는 전자 제어식 시프트 컨트롤러가 달렸습니다. 

 

디자인 외에 실내에서 눈에 띄는 점은 인포테인먼트 부분입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를 운영체제로 삼아, 구글 지도와 구글 플레이를 통합해 제공합니다. 이는 안드로이드 오토와는 별개로 구글에서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안전 및 편의 장비도 대폭 보강했습니다. 트림에 상관 없이 자동 비상 브레이크, 차선 이탈 경고 및 차선 유지 지원,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 차간 거리 표시, 액티브 헤드 램프, 전방 보행자 감지 브레이크 등을 누릴 수 있고, 상급인 하이 컨트리에 최신 기술을 접목한 자율주행 기술인 슈퍼 크루즈 시스템을 옵션으로 제공합니다. 

 

슈퍼 크루즈는 라이다 맵 데이터 고정밀 GPS, 카메라, 레이더 센서를 종합해 테슬라 오토파일럿 대비 고속에서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엔진은 직렬 4기통 2.7리터 가솔린 터보로 이전보다 최대토크가 20% 상승(569Nm)했습니다. 여기에 8단 자동변속기를 물려 2륜의 경우 약 4.3톤의 견인력을 자랑합니다. 

 

직렬 6기통 3.0리터 디젤 터보 엔진도 개선해 2륜 기준의 견인력이 약 6톤으로 강력해졌습니다. 등급에 따라서 5.3 리터의 V8 가솔린 엔진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고성능 버전인 ZR2에는 V8 6.2 리터 420 마력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들어갑니다. 실버라도 모델 중에서는 처음으로 멀티매틱 40mm DSSV 스풀 밸브 댐퍼를 적용해 다양한 환경에서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전용으로 만든 33인치 오프로드 MT 타이어를 장착했고 돌과 바위 등에 의해 손상 입을 경우를 대비해 범퍼 엔트 캡을 분리 가능하도록 변경했습니다. 또한, 듀얼 배기는 리어 범퍼 앞쪽에 배치해 험로에서 파손 가능성을 줄였습니다. 

 

이렇듯 생각보다 변화가 큰 실버라도 페이스리프트는 내년 봄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며 값 등 자세한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년에 쉐보레의 판매량을 책임질 기대주죠. 신형 트레일블레이저입니다.

2019 LA 오토쇼를 통해 정식 데뷔했고 내년 상반기부터 판매될 국내용은 부평공장에서 생산한다고 합니다. 

빨간색 컬러가 고성능 느낌의 트레일블레이저 RS입니다. 

크기는 트랙스보다는 크고 이쿼녹스보다는 작습니다. 현대 투싼이나 기아 스포티지랑 비슷하겠네요

디자인은 블레이저를 거의 그대로 축소한 느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드십으로 변신한 8세대 콜벳의 오픈 버전입니다. 타르가와는 다른 개방감을 주는 것이 장점이죠.

옆에서 보면 쿠페와 다를 바 없이 매끈한 라인을 자랑합니다. 

톱은 포개 미드십 엔진 위쪽에 살포시 얹는 구조네요.

1LT 쿠페보다 7,500달러만 더 주면 얻을 수 있을 정도로 가성비도 좋아요



반응형
반응형



아메리칸 스포츠카의 전설, 8세대로 거듭난 2020 쉐보레 콜벳(C8) 스팅레이 고화질 사진들만 정리합니다.

7세대까지 FR 구동계를 바탕으로 롱노즈 숏데크 스타일을 고수했던 콜벳이 이번엔 미드십으로 플랫폼을 변경하는 모험을 감행했습니다. 

앞뒤 무게비율은 전보다 이상적으로 변했고 성능은 더 크게 진화했죠.

기본형이기는 하지만 0-97km/h 가속시간 3초 이내의 빠른 가속력과 환상적인 코너링 솜씨를 지닌 주인공입니다. 

동급의 성능을 거의 절반에 가까운 값으로 누릴 수 있으니 가성비에선 경쟁자가 없어 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실버라도 HD 헤비듀티라 부르는 대형 픽업입니다. 외모만으로도 당당하고 디자인은 트랜스포머 주인공 뺨칠 정도로 카리스마 넘칩니다. 터프한 디자인은 같은 이름을 쓰지만 기본형 실버라도와 지붕만 공유한다는군요. 나머지는 다 다르게 디자인했습니다. 

파워트레인도 강력해 직분사 가솔린 엔진과 6단 수동기어 조합이 있고 V8 듀라맥스 디젤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한 구성이 있습니다. 강력한 토크를 원한다면 당연히 후자를 선택하겠죠.  터프가이의 워너비가 될 2020 쉐보레 실버라도 HD의 판매는 내년 중반부터 이뤄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2019 쉐보레 코포 카마로(COPO Camaro) 레이스카 고화질 사진들, 69대 한정판입니다. 

1969년에 공개된 오리지널 라구나 블루 모델의 오마쥬로 427 ZL1 엔진을 사용합니다. 

코포 카마로는 일리노이주 베이스의 쉐보레 딜러였던 프레드 깁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는 카마로를 고객의 요구에 맞춰 커스텀해서 건네는 시스템을 도입했는데 이를 쉐보레가 코포 카마로 프로그램으로 받아들인 것이죠.

여기서 코포(COPO)는 'Central Office Production Order'의 줄임말입니다. 

올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ZL1 427 레이싱 엔진은 철로 만든 396 빅 블로 엔진보다 100파운드나 가볍습니다. 물론 훨씬 더 강력한 출력을 유지하면서도요.

자세한 건 더보기를 확인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쉐보레가 2019년형 실버라도를 공개했습니다. 실버라도는 포드 F150과 경쟁하는 풀 사이즈 픽업이죠. 이번에 신형 2.7리터 터보 엔진을 투입하면서 연비와 동력성능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주장합니다.

2.7리터 엔진의 경우 무게가 현행 4.3리터 엔진 모델에 비해 약 380파운드 가볍다는 것이 큰 장점이죠. 온로드 주행성뿐만 아니라 오프로드 주행성에서도 가벼운 게 큰 장점이 됩니다. 

토크는 4.3리터보다 14%나 세고 연비는 13% 향상되었습니다. 장점이 분명하죠. 



반응형
반응형



2019 쉐보레 블레이저(Chevrolet Blazer) 원본 사진들만 정리합니다. 

2005년 단종된 뒤 잠잠하던 블레이저가 부활하네요.

정식 데뷔는 내년 상반기로 예정되어 있고 국내 도입도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참고로 블레이저는 이쿼녹스와 트래버스의 중간급인데 실제 크기는 이쿼녹스보다 약간 큰 정도입니다. 

싼타페보다는 조금 작을 듯해도 이쿼녹스보다는 경쟁력이 높은 싼타페 라이벌이 될 듯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